목록전체 글 (58)
정보게
Q. 예를 들어 장사를하다가 5만원짜리 지폐를 받았는데 이게 위조지폐다. 그래서 경찰에게 갔다줬는데 그럼 내 돈은 어떻게 되는건가?? 간첩은 신고하면 따로 포상금도 주는데 위조지폐를 신고했는데 포상금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신고한 위조지폐만큼만 받을 수 있는거 아닌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돌려받지 못한다'이다. -- 제출한 위조지폐만큼 손해를 보게된다. 결국 위조지폐를 구겨서 휴지통에 넣나 깨시민인척 경찰서에 갖다주는거나 똑같다 왜 보상을 안해주는 것일까? 사정은 딱하지만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위조지폐받으셨군요? 여기요 오만원이요" 이런식으로 보상을 하게 되면 개인이 대충 조잡하게 만들어서 "ATM기에서 인출했는데 이게 나왔어요" "장사하다 받았는데 위조지폐네요" 거짓 신고해서 현금으로 바꾸는 상황이 일어..
일 또는 공부를 하면서 피곤해 질때 에너지 드링크나 커피등 카페인 음료를 마시면서 잠을 쫒는 사람들이 많을 것 임 긴장도 풀겸 졸음도 내보낼겸 겸사겸사 마시는 카페인 음료 거기다 맛까지 좋으니 기분전환엔 그만한 것이 없음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피로를 쫒기위해 하루에 서너 잔씩 마시는 음료에 각성효과를 주는 카페인 함량이 얼마인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음 그래서.... 우리 주변에서 언제나 손쉽게 구해 마시는 음료수 중 카페인 함량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봄 음료의 포장 단위가 제각각 이므로 기초단위 100ml 당 카페인 함량을 mg으로 표기 함 20위 사이다 (100ml 당 0mg) 19위 콜라 (100ml 당 10mg) 18위 티오레 (100ml 당 12mg) 17위 데자와 (100ml 당 23mg..
1920년대엔 가장 작은 물질이 양성자, 중성자, 전자라고 생각했음 1970년대에 '쿼크'라는 더 작은 물질이 발견됨 근데 지금에는 쿼크만 해도 6종류나 됨 ㅋㅋㅋㅋㅋㅋ 근데 또 전자와 비슷하면서 질량이 훨씬 큰 입자인 뮤온, 타우도 발견함 중성미자인 세 종류의 뉴트리노까지 12종류의 입자들이 발견됨..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지롱.. 이 입자들을 만드는 더 작은게 있다는 이론이 나옴 ㅋㅋㅋㅋ 그건 점이 아니라 끈이라는 이야긔 ~이 세상이 끈으로 이루어져있다~ 물리학자들에게 그 끈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려보라고 함 ...? ㅋㅋㅋ본인도 민망한지 웃는 과학자분 이렇게 닫힌 끈 (O형태), 열린 끈 (- 형태) 하나씩을 그림 바이올린이 네 개의 줄이지만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내듯이 끈도 진동해서 우주를 만들어낸..
한반도내 수많은 지명들은 대다수가 한자어인데 부산, 대구, 대전 등의 도시부터 시작해서, 개포동 대치동 같은 동의 이름들까지 전부 한자다. 심지어 시골로 들어가도 고덕면, 비인면, 병천면 등등 시골의 동네이름까지도 싸그리 다 한자다. 그런데 한반도에서 한자가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건 삼국시대부터인데, 그보다 훨씬 ㅈㄹ 오래전부터 한반도엔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그 당시 지역 이름은 분명 달랐을 것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지배층은 부여에서 갈라져 나왔기에 "부여어"를 썼을거라 추측되고,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마한 진한 변한의 부족국가들, 백제의 일반백성들 그리고 신라는 같은 계통인 "한어"를 썼을 거라 추측된다. 그리고 부여어와 한어는 더 나아가 같은 퉁구스어족이라는 가설도 있지만, 일단 두 언어 사이에는..
이 사이트는 AV계의 사람인, 잡코리아 같은 곳이다 처음 Av경력을 시작하려는 여성들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고 LINE으로 무려 상담도 해준다 여기에 AV업계와 야쿠자에 관계성을 묻는 질문에 대한 AV계의 설명글이 있더라 주욱 읽어보니... 이렇게 정리되더라 90년대 초까지는 야쿠자 없이 AV업계 일을 하는건 불가능했던게 사실이지만 92년 일본에서 폭력단 대책법이 발효되면서 AV업계와 야쿠자의 연관성은 완전히 끊겼다 (그런데 갑자기...) AV업계 영상물 덕분에 일본내 성범죄 사건이 급감소했다는걸 알고 있나 (엥...?) 많은 여배우들이 야쿠자와 관련있다는 루머에 시달리지만 그들은 사회에 기여하는 부분이 분명 있다 AV가 아닌 다른 일반업종에서도 야쿠자와 연관된 경우가 많은데 왜 유독 AV만 비난하는가? 야..
패전 직후 한반도에서 수용소에 갇히거나 쫓겨 내려가느라 굶주려야 했던 일본인이 그린 그림. 원산에 살았는데 근처에 살던 조선인 여성이 애기포대기에 쌀을 숨겨 갖다 준 일의 `기억`을 남겨 주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기억을 소거해왔고 현재의 한일 갈등은 그런 70년의 결과이기도 하다. 이 말인즉, 일제시대 당시 조선인들은 일본인 개개인에 대해 좋은 감정으로 그들을 대했던 경우도 많았다는 것이다. 이는 각종 사료와 증언으로 남겨져있다. 일제시대 일본인 야쿠자 사장 밑에서 일하던 조선인 청년이 성실성을 인정받아서 학비와 보너스, 점포까지 받게됨. 일제시대 태어난 김호준씨는 일본 사람들에게 어떤 나쁜 감정도 가져보지 못했다고.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8/2..
우리 일상 속에서 사용하는 단위인 킬로그램 그런데 1킬로그램이 정확히 얼마인지는 도대체 누가 정한 거고 뭘 근거로 정했기에 1킬로그램은 세월이 지나도 언제나 그대로 정확히 1킬로그램이 있는 걸까? 단위의 필요성은 과거부터 생각되어온 문제다 고대 이집트에는 큐빗이라는 단위를 길이를 재는 데에 사용했다 근데 이 큐빗이라는 단위를 마땅히 근거로 정할 게 없어 당시 집권 중인 파라오의 팔 길이를 1 큐빗으로 정한다 사실상 그렇게 정확한 단위 측정은 불가능했지 정확한 단위의 개념은 전 세계의 교류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고 또한 그 단위를 매기는 근거 또한 정확해야만 서로 공통된 약속을 할 수 있는 것 1초라는 정의도 세슘 133 원자에 특정 전파를 쬐면 진동을 하게 되는데 그 진동수를 세어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