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Today
Total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관리 메뉴

정보게

전염병의 역사 본문

역사정보

전염병의 역사

미이루우나아무 2020. 3. 25. 01:15

기원전 430년 ~ 426년

문헌에 기록된 최초의 전염병

아테네 역병





스파르타가 아테네에 침략하면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터져




겁에 질린 촌락 사람들은 너도나도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아테네 성벽안으로 몰려든다.



 

성벽안 많은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쓰레기와 분뇨 등으로

도시는 순식간에 쓰레기장으로 변하고

냄새를 맡고 병원균을 사람에게 옮겨줄 곤충과 쥐도 모여든다.
 




전염병이 활동하기 딱 좋은 환경이 만들어진 것.



 

이들은 사람들의 몸속으로 들어가 염증을 만들었고

피를 토하게 하거나 설사를 유발시킨다.




 

인간들은 열과 갈증때문에 발가벗고 물을 찾아 거리를 뛰어다니게 되고

그리곤 결국 거리에서, 신전에서, 심지어 우물속에서 고통스럽게 숨을 거둔다.




 

사람들은 똑같은 증상을 보이며 점점 죽어 나갔고

전염병은 이렇게 강력하게 역사에 등장하게 된다.




 

아테네 역병은 아테네 인구의 1/3을 죽였고

병에 걸렸다가 겨우 살아남은 사람들은 손가락,발가락,시력등을 잃었다.



 

전염병의 공격은 사람의 몸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까지 병들게 만들었다



 

아테네 역병이 사람들 사이에 퍼져 나가자,

민주주의와 시민의식을 자랑하던 아테네가 무법천지로 돌변하게 된 것

사람들은 남의 것을 훔치고, 강도나 살인까지 서슴없이 저지른다.

 



 

사람들의 생활이 이러니 군대라고 제대로 돌아갈 리가 없다.

아테네 역병이 돌기전까지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아테네의 승리가 손에 잡힐 듯한 상황.




 

하지만 아테네역병이 아테네를 덮치면서 아테네의 국력과 전투력은 크게 저하되고

아테네의 훌륭한 군인이자 정치가인 페리클레스마저 데려가 버린다.

 



 

페리클레스는 아테네의 황금시대를 이끌어가던 인물이었는데,

전염병이 아테네의 황금시대를 닫은 셈이 된것이다.




 

결국 아테네는 스파르타와의 전쟁에서 패한다.

전염병이 아테네 패배의 결정적인 원인이 됐고

이후 스파르타가 이끄는 그리스까지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사람들은 전염병이라는 무서운 존재에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했다.

하지만 다행히도 당시 사람들의 교류범위가 좁아

고대의 전염병은 국지적인 영역에 해를 입히고는 사라지는데...

 



 

1304년대

흑사병이 창궐한다.



 

흑사병은 몽골이 유럽을 침략했을 때 쯤 그 활약을 시작한다.

흑사병은 먼저 몽골군에게 붙어 있다가,전쟁중에 유럽인들에게로 옮겨붙는다.




 

당시 몽골군은 크림반도의 카파성을 함락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는데

공격방법의 하나로 흑사병으로 죽은 시체를 성 안으로 던져 넣는다.





흑사병은 재빠르게 유럽인들에게 옮겨갔고​​​​​​


때마침 카파성안에 제노바에서 온 상인들이 배를 타고 돌아가면서

흑사병을 전 유럽에 퍼뜨린다.




 

배가 정박했던 도시마다 흑사병이 창궐해서 사람들이 부지기수로 죽어나가기 시작하고

전염병을 피해 항구도시를 떠나는 사람을 따라 전염병은 내륙으로 활동범위를 넓혀

그렇게 흑사병은 유럽전역을 휩쓸면서 유럽인구의 절반가량을 죽여버린다.

 



 

흑사병이 창궐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신에게 기도했지만

교회는 흑사병을 해결해 주지 못했다.

경건한 사람도 죄인만큼 죽었고,

촉망받던 성직자들도 흑사병에 걸려 죽으면서 교회의 권위는 크게 떨어진다.

 



 

또한 흑사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죽고 노동력이 귀해지면서

중세 봉건제도도 무너지게 된다.

교회가 이끌어 가던 중세의 끝이 보이기 시작한것.




 

이처럼 중세에 들어서도 사람들은 여전히 전염병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못했다.

교회가 이끌어 가던 시대였던 만큼 전염병을 멈춰달라고 신에게 열심히 빌었을 뿐.




 

전쟁과 교류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중세시대 때부터 전염병이 미치는 범위는 확대되고

흑사병은 유럽대륙은 물론이고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유럽과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세 대륙은 흑사병을 거치면서

이후 서로의 질병에 어느정도의 면역력을 갖게 되는데...

 

흑사병보다 더 큰 피해를 낸 전염병.



흑사병으로 봉건제가 무너진후 서양은

강력한 왕이 나라를 지배하는 절대왕정 시대를 맞이한다.

유럽국가들은 돈이 되는 향신료 무역에 참가하고,

식민지를 개척하기 위해 신항로 개척에 열을 올린다.




그 과정에서 에스파냐의 지원을 받은 탐험가 콜럼버스가 1492년,

아메리카 대륙에 첫발을 내딛게 된다.

그리고 뒤따라 수많은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대륙 곳곳을 점령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전염병도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한다



 

그중 가장 강력한 전염병은 바로 천연두

신대륙 발견전에 유럽에서는 천연두가 한동안 유행했기 때문에,

유럽인들은 천연두에 어느정도 면역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외부와 교류가 없던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천연두는 저승사자나 마찬가지.

천연두를 가볍게 앓고 있던 유럽인 탐험가나 군인을 통해

병원균이 아메리카 원주민에게로 옮겨가자 원주민들은 셀 수 없이 죽어 나간다.




 

천연두가 활약하면서 1억 명으로 추정되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90%가 죽었다.

이는 흑사병보다도 더 큰 활약으로 천연두는 전염병 역사에 길이길이 기억된다.

천연두의 습격은 원주민들에게 실로 파괴적이었다.




 

오죽했으면 천연두 때문에 원주민이 다 죽은후 신대륙에 도착한 한 영국인이

'신이 우리가 가질 수 있도록 땅을 청소해 주셨다'라고 말을 할 정도

 




천연두가 아니었다면 유럽은 신대륙을 쉽게 점령할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처럼 근대 전기의 전염병은

신대륙 발견과 천연두로 인해 규모가 전 지구적으로 넓어졌다.

이제 전 세계는 서로의 질병을 공유하고 함께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게 된다.

 



 

하지만 아직도 인간은 전염병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그래서 전염병의 전파 범위가 넓어지면 그 파괴력은 더 커질 수밖에 없었다.




 

1800년대 사람들은 산업혁명을 통해 공장이라는걸 짓고 석탄을 이용하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도시로 모여들었고, 공장 폐수와 생활쓰레기로 환경이 더러워졌다.





또다시 인간들이 전염병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준 것



 

이때 바로 오염된 물을 통해 전염되는 콜레라가 등장한다.

사실 콜레라는 아주 옛날에 활발히 활동했던 전염병으로,

이때는 인도의 풍토병으로 거의 힘을 잃은 상태였다

하지만 영국이 인도로 진출하면서 콜레라가 다시 힘을 얻게 된다.




 

콜레라는 낯선 사람들의 몸속으로 침투했고

식민지 정복전쟁과 무역 등을 통해 전세계로 퍼져 나간다.




 

하지만 이런 콜레라한테도 약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깨끗한 물에서는 살 수 없다는것

위생만 신경쓴다면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전염병이다




 

하지만 산업화된 도시들은 그럴 형편이 되지 못했다

거리에 쌓인 오물과 생활하수가 결국 땅으로 스며들거나 강으로 흘러들었고,

사람들은 강물을 끌어다, 혹은 더러운 우물 물을 길어 마셔

한명의 콜레라 환자가 생기면 그의 배설물이 상수원으로 퍼졌고

다시 그물을 다른 사람들이 마시면서 콜레라는 빠르게 전파되었다





콜레라는 구토와 설사를 일으켜서 몸안의 수분을 다 빼앗아가 사람을 죽게 만들었다



 

사람들은 여전히 전염병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했지만

이때부터 인간들은 전염병을 극복하려고 뭔가 시도해 보기 시작한다.




 

에드윈 채드윅의 도시를 청소해서 콜레라를 잡을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영국에는 공공의료법이 만들어졌고

도시청소를 시작해서 훗날 콜레라를 물리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존 스노는 오염된 식수가 콜레라의 원임임을 밝혀내고

영국에서는 체계적인 상하수도 시설을 만든다.

도시를 청소하고, 식수를 철저하게 정화시키면서 콜레라를 제압하기 시작.




 

또한 유럽의 여러 국가들과 미국도 영국을 따르면서 그 결과,

1890년대에 콜레라가 다시 많은 나라를 덮쳤을때 유럽과 미국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염병이 인간에게 밀리기 시작했다

 



 

근대 후기의 전염병은 여전히 강력한 힘으로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몰았지만,

사람들의 태도는 달라진다.




 

1865년 프랑스의 화학자인 루이 파스퇴르는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세균이라 부르며

세균이 전염병을 일으키는 것을 증명해 냈다.

 



 

1882년에는 독일의 미생물학자 로베르트 코흐가

미생물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시험하는 방법을 개발해냈고

콜레라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정체도 밝혀냈다.




 

이후 수십년을 지나며 연구자들은

전염병의 원인, 전파 방식, 예방, 치료등에 관한 주요 발견들을 거의 해마다 쏟아냈다.

이렇게 전염병의 신비를 하나둘씩 풀어나가면서 현대의학은 눈부시게 발달한다.



1969년, 감염에 대한 개념을 발견한 지 약 100년 만에

미국 공중위생국장 윌리엄 스튜어트는 선언한다.

"전염병 질병은 이제 대부분 끝이 보인다."




 

인간들은 백신과 항생제를 이용해서

천연두, 결핵, 콜레라 같은 전염병들을 잘 막아냈고

사람들은 전염병을 정복할 수 있을거라고 믿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믿음을 굳혀가던 그때




 

아프리카에서 '에이즈'가 나타난다.

 



 

자연을 더 많이 이용하기 위해 사람들이

아프리카 밀림을 벌목하면서 밀림에 살던 원숭이와 접촉하게 되었고,

그때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이 된다.




 

또 사람들은 전염병을 정복할 수 있다는 낙관론에 사로잡혀

제 1차 세계대전 중 병영에서 유행하기 시작해,

전 세계적으로 5천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을 간과하기도 했다.




 

인간들은 최근 스페인 독감으로 죽은 에스키모 시체를 연구해

스페인 독감이 조류독감의 변종이라고 밝혀낸다.

조류독감은 인간이 조류의 생활 공간을 위협하면서 접촉하게 되자,

조류의 독감이 인간에게로 옮은 것




 

2003년 여름, 전 세계를 강타했던 사스도 야생 사향고양이를 요리해 이용하면서 생긴 병

인간이 탐욕을 채우려고 자연을 훼손하고 이용하려고 하는 한,

전염병은 결코 정복되지 않는다.

 



 

게다가 새로운 변종 전염병이 생기거나

사스가 항공기를 타고 일주일 안에 전 세계로 확산된 것처럼,

전염병이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든 빠른 교통수단을 타고 확산된다면.

이래도 과연 인간은 전염병을 정복할 수 있을까 ?

 



 

현대에 들어서 새로운 전염병의 등장은

전염병을 정복할 수 있다고 믿고 있던 사람들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게다가 신종 전염병들은 약도 안 듣도록 독해졌고, 더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하지만 의학의 발전으로 치료제가 개발되고

철저한 검역과 격리 등으로 인해 사람들은 신종 전염병의 확산을 억제하고 있다.

 



 

그 성과로 현대의 전염병은 과거의 흑사병이나 천연두처럼

세계역사를 바꾸어 놓을 만큼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다.

현대의 전염병은 분명 독해졌지만, 인류는 전염병에 잘 대처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